2024년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신청 자격 확인 후 지원하기
2024년 7월 1일부터 시작되는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은 우울·불안 등의 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국민 8만 명에게 전문 심리상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사업의 목적은 국민의 마음 건강을 지원하고, 만성 정신질환으로 발전하는 것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많은 분들이 이 기회를 통해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적극 참여하길 바랍니다.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이란?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은 2024년부터 시작되는 프로그램으로, 우울·불안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민들에게 전문적인 심리상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사업을 통해 8만 명의 국민이 전문 심리상담을 받을 수 있으며, 2027년까지 점진적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국민의 정신적 건강을 지원하고, 자살 및 자해 시도를 예방하려는 것이 주된 목표입니다.
왜 필요한가요?
우리나라의 정신 건강 상황은 매우 심각합니다. OECD 국가들 가운데 우울증 유병률이 가장 높으며, 2022년 기준으로 100만 명이 넘는 국민이 우울증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신건강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책이 필요합니다.
정신건강 문제 통계
- 우울증: 36.8% (OECD 국가 중 1위)
- 불안증상: 29.5% (OECD 국가 중 4위)
- 정신질환 병원 방문 환자 수: 2015년 289만 명 → 2021년 411만 명 (72% 증가)
지원 대상 및 서비스 유형
지원 대상자는 여러 기관에서 심리 상담이 필요하다고 인정된 자로, 전문 심리상담 서비스를 총 8회 받을 수 있는 바우처를 제공합니다. 서비스는 1급 유형과 2급 유형으로 나뉘며, 각 유형에 따라 제공되는 상담의 질과 비용이 다릅니다.
지원 대상 확인하기
-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인정받은 자
- 정신의료기관에서 인정받은 자
- 국가 건강검진에서 우울증 기준을 초과한 자
신청 및 이용 방법
신청은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가능하며, 오프라인으로 진행됩니다.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고 신청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자세한 신청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신청 절차
- 증빙서류 준비
- 행정복지센터 방문
- 바우처 발급 및 서비스 제공기관 선택
서비스 가격 및 본인 부담금
서비스 가격은 1급 유형이 8만 원, 2급 유형이 7만 원입니다. 본인 부담금은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적용되며, 자립준비청년 및 보호연장아동은 본인 부담금이 면제됩니다.
소득 수준별 자부담 비율
소득 수준 | 자부담 비율 |
---|---|
기준 중위소득 70% 이하 | 0% |
기준 중위소득 70% 초과∼120% 이하 | 10% |
기준 중위소득 120% 초과∼180% 이하 | 20% |
기준 중위소득 180% 초과 | 30% |
자주 묻는 질문
Q: 지원사업의 신청은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A: 2024년 7월 1일부터 신청이 가능합니다.
Q: 심리상담 바우처는 어떻게 받나요?
A: 심리상담 바우처는 신청 후 10일 이내에 발급됩니다.
Q: 상담 서비스는 몇 회 제공되나요?
A: 총 8회의 1:1 대면 심리상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Q: 본인 부담금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A: 본인 부담금은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부과됩니다.
Q: 추가 서비스 제공에 대한 지원은 없나요?
A: 지원 기간 연장은 불가하며, 추가 지원금은 없습니다.
목차
'지원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거제시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신청 자격 확인 후 지원하기 (0) | 2024.10.26 |
---|---|
2024년 밀양시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신청 자격 확인 후 지원하기 (0) | 2024.10.26 |
2024년 김해시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신청 자격 확인 후 지원하기 (0) | 2024.10.26 |
2024년 사천남양출장소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신청 자격 확인 후 지원하기 (0) | 2024.10.26 |
2024년 사천시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신청 자격 확인 후 지원하기 (0) | 2024.10.26 |